일반적으로 개인 투자자가 주식을 거래 시 주가가 상승하였을 때 수익이 낼 수 있는 매수 거래는 가능하지만. 다른 이의 주식을 빌려 하락하였을 때 수익을 내고 목표가격에서 주식을 매입하여 빌린 주식을 되갚는 방식의 공매도는 국내외 기관투자자들이 주로 투자를 하는 방식이고 개인투자자가 공매도를 하는 것은 어렵다. 하지만 선물거래는 상승 시 수익이 나는 매수 거래와 하락시 수익이 나는 매도 거래를 개인 투자자도 진입이 가능하다.

 

 

 

 

 

 선물 매수와 선물 매도

 

 

선물거래는 지수를 상승 예상시 매수 포지션을 진입하고 이것을 선물 매수라고 하며 목표가 도달시 청산을 하면 매도가 아니라 매수 청산이라고 한다. 반대로 지수를 하락 예상시 매도 포지션을 진입하고 이것을 선물 매도라고 하며 목표가 도달시 청산을 할 때는 매도 청산이라고 한다.

선물거래는 상승 시 선물 매수를 하여 수익을 얻고 하락시 선물 매도를 하여 수익을 얻을 수 있지만 시장의 흐름을 정확히 분석하지 않고 대응하였을 때는 손실이 배가 될 수 있으니 정확한 시장 분석을 통해 투자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품선물과 금융선물

 

 

 

 

선물의 종류는 크게 상품선물과 금융선물로 분류할 수 있다.
상품선물은 에너지 (유가, 가스 등), 금속 (금, 은, 동 등) 그 외에도 농산물, 축산물로 나눌 수 있고, 금융선물은 통화선물 (원 달러, 이로 달러, 엔달러  등), 금리선물 (국고채 등), 주가지수선물 (코스피 200 등)로 나눌 수 있다.

 

 

 

코스피200과 옵션

 

 

 

 

덧붙여 우리나라 최초의 선물 시장은 1996년 5월에 주가지수선물이라는 금융 상품이 거래가 되었다.
이때 거래된 상품이 코스피 200지수이다.
이듬해 1997년 7월 코스피 200지수를 기초자산으로 옵션 상품이 거래되기 시작하였다.

 

 

국내 선물의 변동성은 옵션에 답이 있습니다.
우리나라 선물옵션 시장의 근본원리에서 답을 찾아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