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주식 레버리지 뜻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Leverage 란?

사전적 의미로는 지렛대에서 따온 것으로 한국 말로는 지렛대 효과입니다.

적은 힘으로 큰 물체를 이동 시킬 수 있는 지렛대 효과를 생각 한다면 레버리지 뜻이 좀더 쉽게 이해가 되실 거예요.

 

레버리지 뜻은 쉽게 말하면 적은 돈으로 큰 이익을 들어 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타인이나 금융기관으로 부터 차입한 자본을 가지고 투자하여 이익을 발생시키는 것을 말하며 빌린돈을 지렛대 삼아 이익을 창출한다는 의미에서 지랫대 효과라고 부릅니다.

 

즉 빚을 내서 총 자본의 액수를 늘려 투자를 하여 동일한 자본이라도 수익을 더 커질 수 있는 투자 기법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예를 들면 A라는 투자자에게는 1000만원이라는 투자금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레버리지를 활용해 1100만원으로 투자를 하여 투자금의 50%의 수익이 발생 되었을 때 550만원의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레버리지를 올리게 되면 빚을 통해 자본금이 늘어나게 되는데 1500만원의 50%의 수익은 750만원의 수익을 얻게 되는 것이죠.

 

하지만 레버리지를 활용 하지 않은 경우 수익금은 500만원으로 레버리지를 활용하는냐 하지 않느냐에 따라 수익금의 차이가 나게 되는 것입니다.

 

 

레버리지 뜻을 이해 할때 레버리지가 곧 부채라고 이해하면 쉽습니다.

쉽게 생각해보면 우리생활중 레버리지를 활용하고 있는 경우가 꽤 많습니다. 내집장만을 할 때 주택가격이 6억이고 내가 가지고 있는 돈이 4억인 경우 나머지 부족한 2억은 대출받아서 매입을 하게됩니다. 이후 양도시 시세차익을 수 있게 되는데요. 이것이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레버리지 활용 중 하나로 부동산거래시 대출을 받아 투자하는 것 또한 레버리지입니다.

 

주식이든 부동산이든 레버리지 뜻은 동일 합니다. 

어렵게 생각하지 않아도 됩니다.

레버리지는 곧 부채이며 레버리지 비율이 높으면 고위험에 속하게됩니다.

투자가 성공적일 때 수익이 배가 되지만 반대로 손실이 생겼을 때 또한, 손실이 배가 될 수 있습니다.  부동산이든 주식이든 투자란 리스크를 가지게 됩니다. 투자의 결과가 좋은 경우는 부담이 적지만 결과가 나쁜 경우는 회복이 불가능한 경우까지 갈 수 있기 때문에 레버리지 활용은 그만큼 신중하고 조심스러워야 하겠습니다.

 

이정도면 레버리지 뜻과 위험성에 대해 이해하셨으리라 생각합니다.

투자 대상의 가격 변동성이 얼마나 크냐, 리스크 관리가 어느정도 가능하냐에 따라 레버리지 비율을 관리하는것이 현명한 투장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스닥 관리종목 지정 및 상장폐지 요건  (0) 2020.06.28
상장폐지 정리매매  (0) 2020.06.28
이재명 관련주 간단정리  (0) 2020.06.28
조선주 조선 관련주  (0) 2020.06.28
조 바이든 관련주  (0) 2020.06.11